첨부된 자료와 아래 글은 제어시스템 공급업체(CSB, 패널 빌더)를 국가 차원에서 지원해야 한다는 메시지와 함께 지난 몇 달간 여러 정부 기관에 제출한 자료인데, 결과적으로 만족스러운 답변을 받지 못했습니다.
국내의 많은 패널 제작자들이 겪고 있는 고통과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해결해보려고 노력했지만, 너무 성급하고 더 철저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.
반성하면서 정보를 여러분과 공유합니다.
더 필요한 정보나 자료가 있으면 알려주세요. 이것은 매우 실망스러운 프로젝트입니다.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 첨부파일 글로벌 CSB 지원센터 설립 건의서 3.pdf파일 다운로드 내 컴퓨터에 저장
네이버 MYBOX에 저장
국내 제어시스템 구축업체(CSB)의 어려움과 해결방안1. 한국CSB산업의 Control System Builder(CSB)는 자동화 장비 및 설비의 제어시스템을 설계, 개발하는 전문회사입니다.
시스템 통합(SI) 프로젝트에 따른 다양한 요구에 맞춰 제어 시스템을 개발합니다.
제어반을 설계, 공급하고 있습니다.
현재 CSB 산업은 몇 가지 중요한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.
2. 한국 CSB의 가장 큰 문제점은 국내 시장이다.
한국은 세계 CSB 시장의 약 3%만을 차지하고 있으며, 시장 규모가 작고 수익성이 불규칙해 경영 안정성이 낮다.
인력부족: 인구고령화로 인해 숙련된 인재 확보가 어렵다.
기술적 역량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습니다.
기술개발의 한계: 설계와 생산의 자동화 수준이 낮고, 최신 기술 도입이 미흡하여 글로벌 경쟁에서 뒤쳐지고 있습니다.
낮은 국제경쟁력 : 독일, 일본, 중국 등 경쟁국에 비해 낮은 마진구조. 복잡한 고객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.
3. 한국 CSB의 과제 한국 CSB가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.
글로벌 진출 확대: 작은 국내 시장을 넘어 아세안(ASEAN) 등 해외 시장 진출도 모색해야 한다.
이를 위해서는 국내 제조기업 및 SI와의 협력이 필요하다.
기술혁신 : AI, 디지털트윈(DT) 등 ICT 기술을 접목해 설계·생산 시스템을 자동화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.
유연한 조직 운영 : 소규모라도 기술 조직 제휴 및 유연한 운영 방식을 통해 효율성을 높여야 합니다.
전문성 강화: 국제 표준을 준수하는 첨단 엔지니어링 기술 및 품질 관리 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고객의 요구에 부응합니다.
4. 글로벌 CSB 지원센터 제안국가의 CSB가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CSB 지원센터의 구축이 필요하다.
본 센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설계 및 생산 지원 : 최신 ICT 기술을 활용한 설계 시스템 및 생산 자동화 시스템을 지원하여 빠르고 정확한 납품이 가능하도록 합니다.
해외진출 지원 : 해외진출 지원 : 한국 CSB의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제품 설계, 엔지니어링 서비스, 통관 및 현지 판매 지원을 제공합니다.
기술 서비스 제공 : 고객 만족도 제고를 위해 유지보수, 품질관리, 기술 업데이트 등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도움을 줍니다.
5. 결론한국 CSB는 노령화, 인력 부족, 기술 혁신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
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기술과 시장진출 지원을 포함한 종합적인 솔루션이 필요하며, 글로벌 CSB 지원센터 구축은 한국 CSB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돕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.
#wscad, #전기 CAD, #AICAD, #AI CAD, #AI 전기 CAD, #AI 전기 CAD, #CAD, #전기 설계 자동화, #패널 설계, #WS, #전기 설계, #전기 설계, #전기 CAD , #건축전기, #건축전기CAD, #wskorea, #구형서, #구지원, #영구라이센스, #eplan, #Eplan, #패널자동화, #캐비닛 디자인, #AI 디자인, #AI, #Copilot, # AICopilot